SEO YOUNGGI
  • 홈
  • 포트폴리오
  • 소개
    • 프로필
    • 수상경력
    • 활동이력
  • 문의

아이러니와 양면성  |   Irony and Ambilaterality 
2007 - 2012


나만의 시각을 통해 본 세상은 정말 아이러니 그 자체이다. 아이러니라는 말의 유래는 1841년에 덴마크의 철학자인 키에르케고르가 쓴 학위 논문인 ‘소크라테스의 아이러니가 지닌 진리성을 중심으로, 인간관계에서 아이러니의 적극적 의의를 파악하였다.’ 라는 논문에서 아이러니라는 말을 처음 사용하였고 뜻은 한자로 해석하면 모순, 반어, 역설, 이율배반이라는 다양하게 해석할 수가 있다. 
 이런 아이러니 투성이인 세상에는 그 누구보다 성인군자 일 것만 같던 사람은 다른 이를 욕하고 해하며 등쳐먹기를 밥 먹듯이 하는가 하면 세계 초일류이고 최고의 기술력을 자랑하는 기업체는 비자금에 비리란 비리는 다 저지르는 그러한 못볼 꼴을 다 보인다. 지구상의 어느 국가에서든 이러한 일들은 부지기수로 볼 수 있고 그 모든 것들은 내 작업의 이야기 거리가 된다.  
 아이러니와 함께 내 작업을 요약 할 수 있는 말은 양면성이다. 큰 맥락에서 보면 아이러니와 같은 의미로 볼 수 있는데 양면성은 어떤 사물이나 대상(현상이나 사건을 포함하여)에서 일차적으로 보여지는 단면과 그와는 성격이 다른 이면의 모습이 공존하고 있음을 말한다. 이런 서로 다름을 작품 안에서 대상이 되는 소재에 확대하듯 가까이 다가가서 그 소재의 단면을 직접적으로 보여주고 보여진 이미지는 너무 직접적이어서 그 순간은 화면의 모습 이외에는 다른 것을 생각할 수 없지만 곧이어 작품 속에 숨겨진 다른 이면의 모습도 생각하게 된다. 이런 아이러니한 상황속의 양면의 모습들은 나의 작품 속에서 변형, 조합, 재구성을 통해 새로운 이미지로 나타내어진다.

The world seen through my own perceptions is truly irony itself. As for the meaning of the word "irony", the Danish philosopher Kierkegaard first used it in his 1841 dissertation On the Concept of Irony with Continual References to Socrates and can be translated using Chinese characters to variously mean "contradiction, sarcasm, paradox and antimony."
In our irony-filled world, those who seemed holier than any are found repeatedly libeling, harming and defrauding others and world-class corporation that flaunts top class technologies displays the ugliness of committing bribery and every other known act of corruption. Such can be seen to no end in any country on earth, and becomes subject matter for my work.
The word that can summarize my practice along with the term irony is ambilaterality. It  shares the same meaning with irony in a larger sense but ambilaterality says that for a given object (including phenomena and incidents), the section that is initially revealed coexists with features of a reverse side that are different from it. Such divergences approach their subject matter within each work as if enlarging the latter and directly reveal the profile of the subject matter, and the image thus shown is so explicit that one cannot think of anything other than the appearance of the canvas, but they soon come to think of the features of a reverse side hidden inside of the piece. Such double sided features of ironic situations are represented in new imagery through metamorphosis, coalescence and reconstitution.
​
​


에베레스트
  • ₩120,000

에베레스트산은 높이가 해발 8,849 m로 지구에서 가장 높은 산입니다.

  • 리뷰 3
  • 평점 4.8
K2
  • ₩120,000

초고리 산 또는 K2는 에베레스트산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산으로,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와 파키스탄 길기트발티스탄의 경계에 있는 카라코람산맥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 리뷰 3
  • 평점 4.8
칸첸중가
  • ₩120,000

칸첸중가산는 네팔과 인도의 국경에 위치한, 세계 제3봉으로, 높이는 8,586m입니다.

  • 리뷰 3
  • 평점 4.8
로체
  • ₩120,000

로체산은 세계 최고봉인 에베레스트산의 사우스 콜에서 분기된 봉우리로 세계에서 네 번째로 높은 산입니다.

  • 리뷰 3
  • 평점 4.8
마칼루
  • ₩120,000

마칼루산은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높은 산으로 높이는 8,463m에 달합니다.

  • 리뷰 3
  • 평점 4.8
초오유
  • ₩120,000

초오유산은 네팔과 중국의 국경에 위치한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큰 봉우리로 에베레스트산에서 서쪽으로 약 20km 떨어진 곳에 있습니다.

  • 리뷰 3
  • 평점 4.8